경기도 관계자는 17일 “설 전에 2차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했다” 며 조만간 공식 발표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. 지급일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소멸하는 지역화폐나 신용카드 포인트로 지급할 예정이다. 다만, 1차 때 외국인의 경우 결혼이주여성 10만명에게만 지급했지만, 이번엔 인권단체와 국민권익위원회 요구를 받아들여 도내 모든 등록외국인 48만명에게도 같은 액수가 돌아가도록 할 예정이다. 약 1조4000억원 규모 재원은 지방채 발행 없이 통합재정안정화기금 등 경기도가 운용하는 기금만으로도 충당할 방침이다.
재난지원금을 ‘재난기본소득’이라고 부르면서 ‘보편복지’-‘선별복지’ 논쟁을 주도하고 있는 이 지사는 지난 몇 달 새 지지율이 쑥쑥 올라 지난 15일 발표한 한국갤럽 조사(성인 1000명·신뢰 수준 95%·표본오차 ±3.1%포인트,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·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고)에서 23%를 얻어 윤석열 검찰총장(13%),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(10%)를 크게 앞섰다.
지난 8월 민주당 전당대회 때만 해도 이낙연 대표에게 확실히 쏠렸던 세력 구도도 변화하고 있다. 참여정부·문재인 정부에서 비서관을 지내고 광주 광산구청장을 역임한 민형배 의원(광산을)은 이 대표의 ‘전직 대통령 사면론’을 비판하고 난 뒤 이 지사 지지를 공개 선언했다.
이는 이 지사가 이 대표의 오랜 기반인 호남 지역에서 탄력을 받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. 갤럽의 같은 조사에서 이 지사는 광주·전라 지역에서 28%를, 이 대표는 21%를 얻었다. 이 지사와 가까운 한 의원은 “최근 당내 초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 지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분위기다. 호남에서도 ‘이 지사가 대안이지 않겠냐’는 여론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본다”고 분위기를 설명했다.
이 지사 쪽은 선전하고 있는 이유로 ‘성과’를 든다. 보편 복지를 강조하는 일관된 기조로 국민들의 공감을 얻어냈을 뿐 아니라 대담한 정책 제안을 실천으로 이어가면서 확실한 리더십을 보여준다는 것이다.
전문가들은 ‘1위 대선 주자’라는 이 지사의 위상이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. 엄경영 시대정신 연구소장은 “민주당 지지자들의 여론 중에서는 40대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. 40대의 경우 촛불로 상징되는 각종 개혁 좌초를 우려하고 있다. 민주당이 그만큼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”며 “이런 상황에서 이 지사의 추진력이 개혁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”고 짚었다.
신중한 전망도 나온다.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“이 지사가 지지율 1위로 올라서면서 당 안팎의 견제가 더 심해질 것이다. 당장 이 지사의 발언과 정책에도 무게가 더 실리게 될 텐데 만약 여기서 몇 차례 실책이 나온다면 기대했던 만큼 실망도 클 수 있다. 견고한 지지율인지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”고 말했다.
이 지사는 지난 14일 재난지원금 보편지급이 방역망에 혼선을 줄 수 있다며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최고위원이 비판한 것을 두고는 “보편적인 지원을 하면 그 돈을 쓰러 철부지처럼 몰려다니리라 생각하는 자체가 국민 의식 수준을 너무 무시하는 것”이라고 반박했다.
“지금 울산광역시나 전남 순천이나 부산시 각 구 등 여러 지자체도 보편 지원하고 있다”며 “경기도만 가지고 문제 삼는 것도 이상하다”고 지적했다.
호남뉴스 기사 더보기
honam7800@hanmail.net